파이썬 리스트와 딕셔너리 기본 사용법
파이썬은 데이터 구조를 관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도구를 제공합니다. 그 중에서도 리스트(list)와 딕셔너리(dictionary)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자료형입니다. 리스트는 여러 개의 값을 저장하는 데 유용하고, 딕셔너리는 키-값 쌍을 통해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데 적합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리스트와 딕셔너리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리스트(List) 사용하기
리스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. 리스트의 요소들은 인덱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,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. 이러한 리스트는 요소의 추가, 삭제, 수정 등이 가능합니다. 아래는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과 주요 사용법입니다.
- 리스트 생성하기
- 리스트에 값 추가하기
- 리스트의 특정 요소 수정하기
- 리스트에서 값 삭제하기
- 슬라이싱을 통해 부분 리스트 만들기
리스트를 생성할 때는 대괄호([])를 사용하거나 list()
함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빈 리스트를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:
my_list = []
또는
my_list = list()
리스트에 값을 추가할 때는 append()
메서드를 사용합니다. 아래와 같이 값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:
my_list.append(10)
특정 인덱스에 값을 할당하여 리스트의 요소를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:
my_list[0] = 20
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삭제할 때는 remove()
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, 인덱스를 지정하여 삭제할 경우 del
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:
my_list.remove(20)
del my_list[0]
리스트의 일부를 가져오고 싶을 경우 슬라이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:
sub_list = my_list[1:3]
이렇게 하면 인덱스 1부터 2까지의 요소가 포함된 새로운 리스트가 생성됩니다.
딕셔너리(Dictionary) 사용하기
딕셔너리는 키와 값의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. 이 구조는 데이터의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 딕셔너리는 중괄호({})를 사용하여 생성하며, 키와 값은 콜론(:)으로 구분됩니다:
my_dict = {"name": "Alice", "age": 30}
딕셔너리에 값을 추가하고 수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먼저 특정 키에 대해 값을 할당하면, 해당 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키-값 쌍이 추가됩니다:
my_dict["address"] = "Seoul"
기존의 키에 대해 값을 수정하고 싶다면, 동일한 방법으로 값을 재할당하면 됩니다:
my_dict["age"] = 31
딕셔너리에서 값 접근하기
딕셔너리에서 특정 키에 대한 값을 얻으려면, 다음과 같이 키를 사용하여 접근하거나 get()
메서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:
name = my_dict["name"]
age = my_dict.get("age")

딕셔너리의 모든 키와 값 출력하기
딕셔너리에서 모든 키와 값을 출력하고 싶다면 keys()
와 values()
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:
print(my_dict.keys())
print(my_dict.values())
리스트와 딕셔너리의 차이점
리스트와 딕셔너리는 기본적인 구조와 접근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. 리스트는 순서를 갖고 있으며, 인덱스를 통해 요소에 접근합니다. 반면, 딕셔너리는 키를 통해 값을 찾으며, 순서는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특성은 사용할 상황에 따라 선택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.

결론
파이썬에서 리스트와 딕셔너리는 각각의 특성이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 리스트는 단순히 데이터를 나열할 때 편리하며, 딕셔너리는 특정 키와 연관된 값을 저장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. 이러한 자료형을 잘 활용하여 코드를 보다 명확하고 관리하기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리스트와 딕셔너리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소개하였습니다. 여러분이 다음 프로젝트에서 이 자료형들을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하시길 바랍니다.
자주 묻는 질문 FAQ
파이썬 리스트란 무엇인가요?
리스트는 파이썬에서 여러 값을 순서 있게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. 각 요소는 인덱스를 통해 접근되며,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.
딕셔너리를 어떻게 사용하나요?
딕셔너리는 키와 값의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입니다. 중괄호를 사용하여 생성하고, 특정 키에 대한 값을 통해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.
리스트와 딕셔너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?
리스트는 요소들이 순서대로 나열되며 인덱스를 통해 접근하나, 딕셔너리는 키를 사용해 값을 찾습니다. 리스트는 순서가 있지만, 딕셔너리는 순서가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